70년대 경찰의 ‘포토핏 키트’를 이용해 만든 몽타주
ㅇ
그래픽 디자이너 ‘맷 윌리(@mrwilley)’와 포토그래퍼 ‘자일스 리벨(@gilesrevellstudio)’의 프로젝트 <Photofit - Self Portraits> 2007년 제작된 이 프로젝트는 1970년대 몽타주를 만들 때 사용하던 포토핏 키트를 사용해 피사체의 모습을 구현한다. 눈, 귀, 코 등의 카테고리 별로 약 40개의 조각으로 구성된 포토핏 키트로 만든 몽타주는 꽤나 피사체와 닮아있다.
이 프로젝트의 또 중요한 부분은 피사체의 스토리이다. 각 피사체의 삶에 대한 이야기가 범죄자들을 특정하기 위한 정해진 규격을 통해 표현되며 우리는 사회가 정한 외적 편견과 불안, 허영심과 더불어 우리의 관계가 얼마나 기만적인지를 느낄 수 있다.
우리의 주변에 얼마든지 존재하는 변호사, CEO, 타투이스트, 작가, 퇴역 군인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과 우리가 가진 편견들에 대한 이중적 괴리를 표현한 <Photofit - Self Portraits>를 확인해보자.
The project <Photofit - Self Portraits>, created in 2007 by graphic designer Matt Willey (@mrwilley) and photographer Giles Revell (@gilesrevellstudio), uses a Photofit kit to reconstruct the likeness of subjects. This kit, originally used in the 1970s to create montages, consists of approximately 40 pieces categorized into features like eyes, ears, and noses. The resulting montages closely resemble the subjects.
An essential element of this project is the story of each subject. Through the standardized framework initially designed to identify criminals, the narratives of their lives are portrayed, allowing us to confront societal biases, anxieties, vanity, and the deceptive nature of our relationships.
This duality is expressed through representations of various professionals and individuals—lawyers, CEOs, tattoo artists, writers, retired soldiers—who might exist in our own surroundings. The project highlights the stark contrast between the assumptions we make about people and the reality of their lives. Take a closer look at <Photofit - Self Portraits> to explore this intriguing perspective.
Fake Magazine Picks
웨스 앤더슨이 제작한 단편 영화 같은 광고 6선
YELLOW HIPPIES(옐로우 히피스)